728x90 반응형 부아녀 사는이야기37 [23년 개정]종합부동산세 법인세 세율인하 증권거래세인하 양도소득세 이월과세 23년 바뀌는 종합부동산세와 법인세 세율인하와 증여취득세 기준변경 증권거래세인하와 양도소득세 이월과세 등에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먼저 종합부동산세(공시가격)는 기본공제금액이 부부공동 1 주택(12억➡️18억) 1세대 1 주택(11억➡️12억) 다주택자(6억➡️9억)이며 종합부동산세 세율은 2 주택자이하 12억 이하 3 주택자 0.5%~2.7% 12억 초과 3 주택자 2%~5%입니다. 법인세는 법인세율 1% 인하와 2억 이하(10%➡️9%) 200억 이하(20%➡️19%) 3000억 이하(22%➡️21%) 3000억 초과(25%➡️24%) 변경됩니다. 그리고 증권(주식) 거래세 또한 점차적으로 인하하여 변경되며 22년(0.23%) 23년(0.20%) 24년(0.18%) 25년(0.15%) 그리고 부동산취.. 2023. 1. 13. [발표] 서울시 2차 신속통합 재개발 후보지 25곳 지역 2022년 12월 29일 목요일 2차 서울시 신속통합 재개발 후보지 25곳을 발표한 지역을 보면 반지하밀집지역등을 포함한 지역이 있습니다. 올해 진행된 공모는 지난해 1차 때보다 신청구역수가 1차 102곳 2차 75곳으로 다소 줄었지만 자치구로부터 추천된 심사대상 구역수는 1차와 비슷한 수준인 1차 59곳 2차 51곳입니다. 아울러 서울시는 지역 노후여건과 신청건수와 함께 1.2. 차 공모에 보여준 주민열의, 빠른 주거환경개선의 필요한 안전취약지역등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자치구별로 1곳 이상 추가 선정된 곳도 있습니다. 지역 균형발전을 고려해 자치구별로 안배하되 지난 1차 공모 때 선정되지 않은 사유가 해소되지 않았거나 주민 반대가 많은 구역은 제외되었으며 반면에 신청구역이 몰려 있어도 지역 특성을 고려해.. 2023. 1. 12. 23년 건강보험료인상 장기요양보험료 기초연금과생계비인상과 영아수당 부모급여 23년 들어서 인상되는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 기초연금,생계비인상과 영아수당 부모급여와 장애수당인상과 육아휴직 등 다양한 혜택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1. 건강보험료(1.49%) 인상 내용으로 1). 직장가입자(소득 ×%) (3.495%➡️3.545%) 2). 지역가입자(부과점수 ×원) (205.3원➡️208.4원) 2. 장기요양보험료(4.4%) 인상 건보료 ×(12.27%➡️12.81%) 3. 연금인상(5.1%=물가상승률) 직역연금(공무원, 사학, 군인, 별정) 국민연금 등 기초연금(4.7%) 인상 단독가구 연금 (월 30.75만 원➡️월 32.2만 원) 부부가구 연금 (월 49.2만 원➡️월 51.5만 원)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월 180만 원➡️월 202만 원) 부부가구 소득인정액 (월 288만➡.. 2023. 1. 12. [23년 개정]바뀌는 소득세법 월세 세액공제 퇴직소득공제 내용 23년 개정된 소득세법으로 바뀌는 월세 세액공제와 퇴직소득 공제을 알아보겠습니다. (1) 소득세법 개정 내용으로 1. 1200만 원 이하➡️1400만 원 이하 2. 4600만 원 이하➡️5000만 원 이하 3. 식대소득공제(10만➡️20만 원) 4. 연금소득공제(7백만➡️9백만 원) 5. 신용(체크) 카드소득공제 연소득 7천만 원 이하(300만 원) 연소득 7천만 원 초과(250만 원) 6.(전통시장, 대중교통, 공연) 소득공제 연소득 7천만 원 이하(300만 원) 연소득 7천만 원 초과(200만 원) (2) 소득세율(공제금액) 내용으로 1. 1,400만 원 이하:6% 2. 1,400만~5,000만:15%(126만) 3. 5,000만~8,800만:24%(576만) 4. 8,800만~1억 5천:35%(15.. 2023. 1. 12.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