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부아녀 GTX 호재지역43

[발표] 서울시 2차 신속통합 재개발 후보지 25곳 지역 2022년 12월 29일 목요일 2차 서울시 신속통합 재개발 후보지 25곳을 발표한 지역을 보면 반지하밀집지역등을 포함한 지역이 있습니다. 올해 진행된 공모는 지난해 1차 때보다 신청구역수가 1차 102곳 2차 75곳으로 다소 줄었지만 자치구로부터 추천된 심사대상 구역수는 1차와 비슷한 수준인 1차 59곳 2차 51곳입니다. 아울러 서울시는 지역 노후여건과 신청건수와 함께 1.2. 차 공모에 보여준 주민열의, 빠른 주거환경개선의 필요한 안전취약지역등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자치구별로 1곳 이상 추가 선정된 곳도 있습니다. 지역 균형발전을 고려해 자치구별로 안배하되 지난 1차 공모 때 선정되지 않은 사유가 해소되지 않았거나 주민 반대가 많은 구역은 제외되었으며 반면에 신청구역이 몰려 있어도 지역 특성을 고려해.. 2023. 1. 12.
23년 건강보험료인상 장기요양보험료 기초연금과생계비인상과 영아수당 부모급여 23년 들어서 인상되는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 기초연금,생계비인상과 영아수당 부모급여와 장애수당인상과 육아휴직 등 다양한 혜택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1. 건강보험료(1.49%) 인상 내용으로 1). 직장가입자(소득 ×%) (3.495%➡️3.545%) 2). 지역가입자(부과점수 ×원) (205.3원➡️208.4원) 2. 장기요양보험료(4.4%) 인상 건보료 ×(12.27%➡️12.81%) 3. 연금인상(5.1%=물가상승률) 직역연금(공무원, 사학, 군인, 별정) 국민연금 등 기초연금(4.7%) 인상 단독가구 연금 (월 30.75만 원➡️월 32.2만 원) 부부가구 연금 (월 49.2만 원➡️월 51.5만 원)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월 180만 원➡️월 202만 원) 부부가구 소득인정액 (월 288만➡.. 2023. 1. 12.
[23년 개정]바뀌는 소득세법 월세 세액공제 퇴직소득공제 내용 23년 개정된 소득세법으로 바뀌는 월세 세액공제와 퇴직소득 공제을 알아보겠습니다. (1) 소득세법 개정 내용으로 1. 1200만 원 이하➡️1400만 원 이하 2. 4600만 원 이하➡️5000만 원 이하 3. 식대소득공제(10만➡️20만 원) 4. 연금소득공제(7백만➡️9백만 원) 5. 신용(체크) 카드소득공제 연소득 7천만 원 이하(300만 원) 연소득 7천만 원 초과(250만 원) 6.(전통시장, 대중교통, 공연) 소득공제 연소득 7천만 원 이하(300만 원) 연소득 7천만 원 초과(200만 원) (2) 소득세율(공제금액) 내용으로 1. 1,400만 원 이하:6% 2. 1,400만~5,000만:15%(126만) 3. 5,000만~8,800만:24%(576만) 4. 8,800만~1억 5천:35%(15.. 2023. 1. 12.
21년 1차신통기획 재개발 지역 진행 사항 오늘은 작년 21년에 신통 기획 재개발 구역에 지정된 재개발 진행 사항을 각 구역마다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21년 1차 신통 기획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된 25개 구역이 각각 조금씩 속도가 차이가 있습니다. 이렇게 신통 기획 재개발 구역에 조합원 인원수나 각 지역의 특성상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차 신속 통합기획 재개발 진행사항(2022.10.04 기준) 1. 정비계획 수립 착수 2. 개략 계획 마련 (착수보고> 신통 기획가 회의> 시구 합동회의> 주민간담회> 신속 통합기획 수립 요청 3. 신속 통합기획 수립 자문회의> 주민간담회> 주민의견 보완> 주민설명회> 신속 통합기획 수립 통보 (대상지 특성에 따라 6-10개월 예상) 4. 정비구역지정절차 (구 입안//시 지정>23년 하반기 예정).. 2022.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