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세제개편,경제,사회,시사56

[과세기준]등록 주택임대사업자 소득세 비과세 기준 요건과 주택수 기준 오늘은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앞두고 등록 주택임대사업자 소득세 비과세 기준 요건과 주택수 과세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게시글 중에 [고지] 등록 주택임대사업자 사업장현황신고 방법과 기간에는 소득세 신고를 위한 사업장현황신고를 한 것으로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함이라고 앞서 잠깐 언급했습니다. 그럼 등록 주택임대사업자의 소득세 과세대상 주택수를 기준으로 비과세조건과 과세 조건을 주택수를 기준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등록 주택임대사업자의 소득세 과세대상 1 주택의 경우 1. 국외주택 월세수입 2. 기준시가 9억 원 초과 주택 월세수입 소득세 과세대상 2 주택의 경우 1. 모든 월세수입 소득세 과세대상 3 주택이상 경우 1. 모든 월세수입 2. 비소형 3채 이상 보유하며 해당 보증금 전세금 합계가 3억 .. 2023. 1. 17.
[고지]등록 주택임대사업자 사업장현황신고 방법과 기간 1월은 등록 주택임대사업자 사업자 현황신고 기간으로 신고 방법과 유의해야 할 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등록 주택임대사업자 사업자 현황신고 기간은 매년 1월 1일부터 2월 10일까지 신고해야 하는 의무이며 1년간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수입금액을 다음 해 2월 10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 등록 주택임대사업장현황 신고 안내문을 받았다면 소득세 과세대상인지 확인해야 하며 실제 소득세 과세대상이 아니라면 사업장현황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주택임대 사업장현황신고한 내용을 바탕으로 당해 5월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소득세 신고의무가 있습니다. 주택임대소득으로 월세 소득이 있거나 전세보증금이 있을 때 전세보증금이 3억을 초과하는 주택의 전세보증금을 간주임대료로 계산 후 사업장현황신고를 국세청 홈택스나 해당 세무서에 .. 2023. 1. 16.
[과태료 주의]등록 주택임대사업자 혜택과 의무 주택임대등록 한 주택은 혜택도 많이 있지만 의무도 많습니다. 과태료 주의하며 등록 주택임대사업자 혜택과 의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06년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을 하고 2017년에 주택임대사업자 혜택이 늘어나면서 다시 주택을 등록하고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용산구 청파동에 주택은 2018년에 매입해서 임대 등록한 주택이 신통기획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이 되어 현재 청파 2 구역 신통기획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부동산 투자할 때 신축 다세대 매입 후 임대주택등록 후 임대주택이 재개발이 됨으로써 부동산 투자 성공할 수 있는 등록 주택임대사업자의 혜택과 의무에 궁금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는 시군구 자치구에 임대사업자 등록과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을 완료해야 합니다. 현재는 .. 2023. 1. 16.
[공고]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기준상향과 전기요금인상 사회복지기준 상향변경 요즈음 경제적으로 많이 힘든 시기에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상향 변경 사회복지기준 상향 변경 최저인금인상과 공무원 임금인상 각종 수당이 인상되는 좋은 일도 있어서 살펴보았습니다. 먼저 전기요금 내용으로 300 kwh이하 ×91.3원 450 kwh이하 ×160.3원 451 kwh이상 ×228.6원으로 인상됩니다 최저임금 5% 인상되어 시급 9,160원➡️9,620원으로 월급으로 209시간/201.05이며 또한 공무원봉급 1.7% 인상으로 5급 이하 인상과 4급 이상 동결로 9급 1호봉 172만 7급 15호봉 329만 경위 15호봉 358만 5급 20호봉 466만 인상되며 사병월급 또한 인상되어 병장 67만➡️100만 상병 61만➡️80만 일병 55만➡️68만 이병 51만➡️60만 인상으로 국군장병 분께 큰 .. 2023.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