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임대사업자] HUG 임대보증금 일부 보증금액
계산방법과 보증료 금액 안내 2탄
오늘은 전세 일부 보증 신청할 때
임차인으로부터 임대보증금 보증 신청서를
작성하게 되는데 일부 보증금 계산하는
방법과 꿀팁을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집중하세요~~
먼저 인터넷에 부동산 공시 가격
알리미라는 사이트에서 해당 임대주택의
당해연도 공시 가격을 조회하고
출력할 수가 있어 서서
출력을 해야 합니다
(혹시 댁에 프린트가 없으면
보증보험 신청할 때 HUG 공시 가격
출력은 해주는 걸 봤어요)
저는 공시 가격 의의 신청 문자가 오면
등록된 임대주택의 공시 가격을
다 출력을 해 놓고 필요할 때
이용하면 됩니다
등록 임대주택이 많으면
전세 일부 보증보험 신청할 때
이용하면 매번 신청할 때마다
들어가서 출력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등록된 임대주택의 공시 가격을
한 번에 출력하면 됩니다.
위의 파일을 열어보면 임대물건
주택 주소 입력하고 다음 줄에
왼쪽 보증대상금액이라고 있습니다.
천천히 서류를 보시고 찾으셨나요?
왼쪽에서부터 차래대로 설명하겠습니다
보증대상금액 담보권 설정금액 (a)
임대보증금액(b) 주택 가격의 60%(c)
보증 대상금액(a+b-c) 확인하셨죠
담보권 설정금액(a)은 은행에 임대주택에
담보대출금액을 말합니다
(없다면 0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임대보증금액(b)은 전세보증금을
입력하면 됩니다
(월세는 임대주택 가격보다
보증금이 작다면 보증보험 면제 됩니다)
주택 가격의 60%(c)은 좀 전에
공시 가격 출력하면
임대주택 공시 가격에 150% 한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해당 임대주택의 담보대출은
0원이라고 가정하고
해당 임대주택의 임대보증금액(b)
247,000,000이라고 가정하고
해당 임대주택의 공시 가격이
188,000,000*150%=282,000,000입니다
. 282,000,000*60%=169,200,000입니다
해당 임대주택의 일부 보증대상 금액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보증 대상금액(a+b-c) 계산하면
0+247,000,000-169,200,000=
77,800,000 만원이 나옵니다
77,800,000 만원이
전세 일부 보증보험 금액이 됩니다.
77,800,000만 원 일부 보증금액에
대해서 보증료액은 임대인의 신용도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참고로 위에서 계산한 내용은 제가
등록한 임대물건을 예로 들었습니다
저의 임대물건의 보증료액은
173,990원이었습니다....
생각보다 적은 보증료액에 놀라면서
기분은 좋았습니다~
보증료 납입 알림톡을
세입자에게 공유하고
납부 완료했습니다
173.990원에 75% =130,493원은
임대인 부담하고
나머지 25%=43,498원은
임차인이 부담하면 됩니다.
임대인이 173,990원을 선납부하고
그다음에 25% 43,498원은
임차인한테 받으시면 끝~~~~
여러분 쉽게 이해가 되셨나요?
임대보증금 일부 보증에 대한
임차인 동의서에 작성해서
임차인에게 설명하고 동의서
받으면 됩니다
참고로 표준임대차계약서 작성 시
사인으로 했다면 임대보증금 일부 보증에
대한 임차인 동의서에도 꼭 사인으로
받아야 합니다
혹시라도 사인이 표준임대차계약서랑
다르거나 도장으로 했다면
동의서 다시 받아야 합니다
꼭 잊지 마세요~~~^^
임대보증금 일부 보증에 대한
임차인 동의서에 작성을 다했다면
준비한 필요서류와 HUG에서
서류를 작성하면
전세 일부 보증가입 신청이 완료되면
보증신청 확인서 발급해줍니다~
그다음 해야 할 일은 어제 올린 글에서
확인하시고 렌트홈에서
임차인 변경신고를 하면 끝~~~~
어때요? 어렵나요?
여러분이 직접 해 보면
더욱더 쉬워요~
한번 해보세요~
[주택임대사업자] HUG 임대보증금
일부 보증금액 계산방법과 보증료 금액 안내
2탄은 여기까지 입니다
여러분 주말 행복하게 보내시고
다음 편은 용산구 신속 통합 재개발에
관해서 소중한 정보 꿀팁
하나씩 공개하려고 합니다
글 내용 중간중간 팁(보물)을
숨겨 둘 거예요.
내일부터 저랑 어린 시절로 돌아가
보물찾기 해보면 어떨까요?
글을 다 읽고 나서 각자 하나식
보물을 꼭 찾으시길 바랄게요~~^^
오늘도 같이 소통할 수 있는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 [부아녀 부자이야기]입니다.
'부동산투자,주택임대사업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관대출 종잣돈으로]부동산 투자로 10억 만들기 1탄 (0) | 2022.06.14 |
---|---|
[부동산 매매]부동산 매매시 등기서류 소유권이전 구비서류 안내 (0) | 2022.06.13 |
[주택임대사업자]주택임대사업자 임대주택 등록시 주요사항 (0) | 2022.06.12 |
[주택임대사업자] 전세보증보험 신청방법 어렵지 않아요, HUG 서울보증보험비교 1탄 (0) | 2022.06.10 |
[주택임대사업자]새로운 세입자 입주시 확인해야 될 사항은? (0) | 2022.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