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31 [과세기준]등록 주택임대사업자 소득세 비과세 기준 요건과 주택수 기준 오늘은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앞두고 등록 주택임대사업자 소득세 비과세 기준 요건과 주택수 과세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게시글 중에 [고지] 등록 주택임대사업자 사업장현황신고 방법과 기간에는 소득세 신고를 위한 사업장현황신고를 한 것으로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함이라고 앞서 잠깐 언급했습니다. 그럼 등록 주택임대사업자의 소득세 과세대상 주택수를 기준으로 비과세조건과 과세 조건을 주택수를 기준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등록 주택임대사업자의 소득세 과세대상 1 주택의 경우 1. 국외주택 월세수입 2. 기준시가 9억 원 초과 주택 월세수입 소득세 과세대상 2 주택의 경우 1. 모든 월세수입 소득세 과세대상 3 주택이상 경우 1. 모든 월세수입 2. 비소형 3채 이상 보유하며 해당 보증금 전세금 합계가 3억 .. 2023. 1. 17. [고지]등록 주택임대사업자 사업장현황신고 방법과 기간 1월은 등록 주택임대사업자 사업자 현황신고 기간으로 신고 방법과 유의해야 할 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등록 주택임대사업자 사업자 현황신고 기간은 매년 1월 1일부터 2월 10일까지 신고해야 하는 의무이며 1년간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수입금액을 다음 해 2월 10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 등록 주택임대사업장현황 신고 안내문을 받았다면 소득세 과세대상인지 확인해야 하며 실제 소득세 과세대상이 아니라면 사업장현황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주택임대 사업장현황신고한 내용을 바탕으로 당해 5월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소득세 신고의무가 있습니다. 주택임대소득으로 월세 소득이 있거나 전세보증금이 있을 때 전세보증금이 3억을 초과하는 주택의 전세보증금을 간주임대료로 계산 후 사업장현황신고를 국세청 홈택스나 해당 세무서에 .. 2023. 1. 16. [과태료 주의]등록 주택임대사업자 혜택과 의무 주택임대등록 한 주택은 혜택도 많이 있지만 의무도 많습니다. 과태료 주의하며 등록 주택임대사업자 혜택과 의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06년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을 하고 2017년에 주택임대사업자 혜택이 늘어나면서 다시 주택을 등록하고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용산구 청파동에 주택은 2018년에 매입해서 임대 등록한 주택이 신통기획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이 되어 현재 청파 2 구역 신통기획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부동산 투자할 때 신축 다세대 매입 후 임대주택등록 후 임대주택이 재개발이 됨으로써 부동산 투자 성공할 수 있는 등록 주택임대사업자의 혜택과 의무에 궁금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는 시군구 자치구에 임대사업자 등록과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을 완료해야 합니다. 현재는 .. 2023. 1. 16. [공고]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기준상향과 전기요금인상 사회복지기준 상향변경 요즈음 경제적으로 많이 힘든 시기에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상향 변경 사회복지기준 상향 변경 최저인금인상과 공무원 임금인상 각종 수당이 인상되는 좋은 일도 있어서 살펴보았습니다. 먼저 전기요금 내용으로 300 kwh이하 ×91.3원 450 kwh이하 ×160.3원 451 kwh이상 ×228.6원으로 인상됩니다 최저임금 5% 인상되어 시급 9,160원➡️9,620원으로 월급으로 209시간/201.05이며 또한 공무원봉급 1.7% 인상으로 5급 이하 인상과 4급 이상 동결로 9급 1호봉 172만 7급 15호봉 329만 경위 15호봉 358만 5급 20호봉 466만 인상되며 사병월급 또한 인상되어 병장 67만➡️100만 상병 61만➡️80만 일병 55만➡️68만 이병 51만➡️60만 인상으로 국군장병 분께 큰 .. 2023. 1. 13. [23년 개정]종합부동산세 법인세 세율인하 증권거래세인하 양도소득세 이월과세 23년 바뀌는 종합부동산세와 법인세 세율인하와 증여취득세 기준변경 증권거래세인하와 양도소득세 이월과세 등에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먼저 종합부동산세(공시가격)는 기본공제금액이 부부공동 1 주택(12억➡️18억) 1세대 1 주택(11억➡️12억) 다주택자(6억➡️9억)이며 종합부동산세 세율은 2 주택자이하 12억 이하 3 주택자 0.5%~2.7% 12억 초과 3 주택자 2%~5%입니다. 법인세는 법인세율 1% 인하와 2억 이하(10%➡️9%) 200억 이하(20%➡️19%) 3000억 이하(22%➡️21%) 3000억 초과(25%➡️24%) 변경됩니다. 그리고 증권(주식) 거래세 또한 점차적으로 인하하여 변경되며 22년(0.23%) 23년(0.20%) 24년(0.18%) 25년(0.15%) 그리고 부동산취.. 2023. 1. 13. [발표] 서울시 2차 신속통합 재개발 후보지 25곳 지역 2022년 12월 29일 목요일 2차 서울시 신속통합 재개발 후보지 25곳을 발표한 지역을 보면 반지하밀집지역등을 포함한 지역이 있습니다. 올해 진행된 공모는 지난해 1차 때보다 신청구역수가 1차 102곳 2차 75곳으로 다소 줄었지만 자치구로부터 추천된 심사대상 구역수는 1차와 비슷한 수준인 1차 59곳 2차 51곳입니다. 아울러 서울시는 지역 노후여건과 신청건수와 함께 1.2. 차 공모에 보여준 주민열의, 빠른 주거환경개선의 필요한 안전취약지역등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자치구별로 1곳 이상 추가 선정된 곳도 있습니다. 지역 균형발전을 고려해 자치구별로 안배하되 지난 1차 공모 때 선정되지 않은 사유가 해소되지 않았거나 주민 반대가 많은 구역은 제외되었으며 반면에 신청구역이 몰려 있어도 지역 특성을 고려해.. 2023. 1. 12. 23년 건강보험료인상 장기요양보험료 기초연금과생계비인상과 영아수당 부모급여 23년 들어서 인상되는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 기초연금,생계비인상과 영아수당 부모급여와 장애수당인상과 육아휴직 등 다양한 혜택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1. 건강보험료(1.49%) 인상 내용으로 1). 직장가입자(소득 ×%) (3.495%➡️3.545%) 2). 지역가입자(부과점수 ×원) (205.3원➡️208.4원) 2. 장기요양보험료(4.4%) 인상 건보료 ×(12.27%➡️12.81%) 3. 연금인상(5.1%=물가상승률) 직역연금(공무원, 사학, 군인, 별정) 국민연금 등 기초연금(4.7%) 인상 단독가구 연금 (월 30.75만 원➡️월 32.2만 원) 부부가구 연금 (월 49.2만 원➡️월 51.5만 원)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월 180만 원➡️월 202만 원) 부부가구 소득인정액 (월 288만➡.. 2023. 1. 12. [23년 개정]바뀌는 소득세법 월세 세액공제 퇴직소득공제 내용 23년 개정된 소득세법으로 바뀌는 월세 세액공제와 퇴직소득 공제을 알아보겠습니다. (1) 소득세법 개정 내용으로 1. 1200만 원 이하➡️1400만 원 이하 2. 4600만 원 이하➡️5000만 원 이하 3. 식대소득공제(10만➡️20만 원) 4. 연금소득공제(7백만➡️9백만 원) 5. 신용(체크) 카드소득공제 연소득 7천만 원 이하(300만 원) 연소득 7천만 원 초과(250만 원) 6.(전통시장, 대중교통, 공연) 소득공제 연소득 7천만 원 이하(300만 원) 연소득 7천만 원 초과(200만 원) (2) 소득세율(공제금액) 내용으로 1. 1,400만 원 이하:6% 2. 1,400만~5,000만:15%(126만) 3. 5,000만~8,800만:24%(576만) 4. 8,800만~1억 5천:35%(15.. 2023. 1. 12. 이전 1 2 3 4 5 ··· 17 다음